2010년 5월 27일(목)은 버마에서 마지막 총선거가 있었던 1990년으로부터 20주년이 되는 날로, 올해 총선거에 반대하는 국제공동행동의 날이 전 세계 각지에서 열립니다. 한국시민사회단체들도 국제공동행동에 동참하여 버마총선거의 비민주성을 알리고, 한국정부에 선거결과를 인정하지 않을 것을 요청할 예정입니다. 버마 이슈에 관심있는 분들과 함께 합니다.  

<행사 안내: 2010년 5월 27일(목)>

- 낮 12시, 버마활동가들과 버마 대사관(서울 한남동)앞에서 기자회견
- 낮 3시부터 5시, 서울 명동2가 유네스코 근처에서 거리 캠페인 진행
- 이명박 대통령에게 버마의 총선거를 반대할 것을 촉구하는 엽서 보내기 운동 진행
   (댓글을 통해서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버마 군부정권에서는 2010년 올해 내에 총선거를 치룰 예정입니다. 지난 2008년 태풍 나르기스로 인해 버마국민들이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을 때에도 군부는 신헌법국민투표를 강행하여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신헌법은 군부독재를 영속화시키려는 비민주적인 헌법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올해 선거는 이 헌법에 의거하여 치러질 예정으로 버마민주화를 염원하는 버마 민주화 조직과 인사들의 선거 참여는 신헌법에 의하여 이미 배제되었으며, 민주화조직과 인사들 역시 올해 치러질 총선거에 불참할 것을 결정하였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내는 엽서

이명박 대통령께,

버마는 2010년 총선거를 앞두고, 군부정권의 폭압에 신음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 지도자인 아웅산수찌 여사를 포함해 정치범들은 여전히 감옥에 있고, 소수민족은 탄압받고 있습니다. 이번 총선거는 군부정권이 2008년 개악한 헌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전쟁범죄와 반인류적 범죄의 책임을 피하려는 것입니다. 버마 국민은 군사정권에 의한 선거가 아닌, 제대로 된 선거를 원하고 있습니다.

민주적인 선거가 되려면 버마 군부는 최소한 다음 요건을 이행해야 합니다.

1. 아웅산수찌 여사를 포함한 모든 정치범을 석방할 것
2. 소수민족과 민주주의 집단에 대한 적대적 행위를 중단할 것
3. 개헌 헌법 재검토하고, 주요 당사자들과 대화에 임할것
 

이에 이명박 대통령님께서 요구합니다.
버마 군부가 실시하는 2010 총선거를 공개적으로 비판해 주십시오.
버마 군부가 위3가지 민주적 선거 요건을 수용할 것을 요청해주십시오. 그렇지 않을 경우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을 것을 국제사회에 천명해 주십시오.


이름:                   (서명)

주소:

Posted by 영기홍
,
5월 25일 국제민주연대, 참여연대등 시민사회단체들은 강남 포스코 본사앞에서 인도 오리사주 주민들의 유혈사태에 대해 포스코가 사태를 파악하고 인도 정부에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요청할 것을 묻는 기자회견을 진행하였다.  

[기자회견문]


포스코는 인도 오리사주 제철소 건설 반대 주민에 대한
 유혈진압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

지난 5월 15일, 인도 오리사주에서 진행 중인 포스코의 제철소 건립에 반대하던 현지 주민들을 인도 경찰이 강제 진압하면서 2명이 중상을 입고 100여명이 부상당하는 유혈사태가 발생하였다. 인도 현지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진압과정에서 시위대를 향해 고무탄과 최루탄뿐 아니라 실탄까지 사용하고 심지어는 부상당한 시위대에 대한 의료지원까지 차단하였다고 한다.

포스코가 인도 오리사주에서 제철소 건립사업을 시작한 이래 현지 주민들은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반대 운동을 벌여왔다. 특히 건립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올해 1월부터 발리투타(Balithutha)지역에서 단식농성을 지속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5월 15일 당일, 약 600여명의 시위대가 농성 중이다가 경찰이 투입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위대는 3500명으로까지 늘어났다. 이 시위대에는 상당수의 여성과 노약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포스코의 제철소 프로젝트 추진으로 인해 현지 주민들은 이미 많은 고통을 겪어왔다. 공동체는 프로젝트에 대한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져 반목하고 있고 주민들은 생업의 지장과 불안한 미래로 인해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 조상대대로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고수하던 이들에게 찾아온 갑작스런 삶의 변화는 그 자체로도 폭력인 것이다.

삶의 터전을 파괴하고 생계를 위협하는 개발의 공포와 폭력은 포스코 제철소 건설지역 뿐만 아니라 인도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로 인한 일방적 희생이 사회적 약자인 빈민들과 선주민들에게 집중되면서 개발의 폭력은 인도만이 아니라 국제시민사회가 주목하고 우려하는 국제적 관심사가 되었다. 때문에 인도 당국이 반대주민들의 시위에 공권력 투입을 자제하고 포스코가 적절한 보상 및 이주대책을 제시하여 반대 주민들을 설득하겠다는 그동안의 약속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었다.

그러나 돌연 5월 15일 1500명의 경찰이 투입되어 여성 및 노약자에게 무자비한 폭력을 휘두르고 심지어 실탄까지 사용되었다는 의혹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양심과 윤리는 인도 경찰의 반인도적 행위를 용납할 수 없고, 희생자들의 생명과 상처를 외면할 수 없다. 인도 경찰은 시위대가 먼저 폭력을 사용하였으며 정당한 법집행이었다고 강변하고 있지만, 인도TV의 동영상은 경찰의 행동이 시위대의 최소한의 안전도 고려되지 않는 비이성적인 진압이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인도 경찰이 반대 시위대에 이러한 진압작전을 펼쳐야 했는지에 대한 이유와 그 배경이 무엇인지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개발프로젝트에 있어서 현지 정부가 다국적기업의 편의를 위해 반대주민들에게 공권력을 투입하여 폭력을 행사하는 모습은 이미 익숙한 이 시대의 풍경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해당 다국적기업들은 인권침해의 공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포스코는 오리사주를 비롯한 인도 곳곳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포스코가 아무리 많은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이번 사태의 책임을 인도경찰에게 돌리더라도 포스코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현지 정부의 인권침해를 통해 사업과 사업수행의 이익을 얻는 것은 인권침해의 공범이 되는 것이다. 포스코는 윤리규범 5조 “국가와 사회항목”에서 “지역사회의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지역사회와의 공동 번영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 “인권, 환경, 문화 및 경제 등과 관련한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와 현지국의 법규 및 회계기준 등을 준수한다.”고 스스로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태는 포스코가 스스로 밝힌 원칙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그 진의를 의심받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포스코가 쌓아온 사회책임경영의 명성은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는 처지에 놓여 있다.

포스코는 이번 사태에 대한 입장과 해명을 즉각 내놓아야만 한다. 그리고 다시는 이와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인도정부에 강력히 요구하는 등, 모든 노력을 기울여만 한다.

하나, 포스코는 이번 사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입장을 즉각 발표하라
하나, 포스코는 이번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인도정부에 강력히 요청하라

2010년 5월 25일

기자회견 참가자 일동

Posted by 영기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광주 인권상 수상자인 수실 파큐렐(Sushil Pyakurel,과거사조사위원회 대표)씨가 5월 24일 참여연대를  방문하였습니다. 그는 네팔의 혼란스러운 민주화 과정을 알리고 과거사 청산의  해결이 얼마나 어려운지도 설명해 주었습니다. 특히 진정으로 평화가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인권 보장이 기본 조건임을 강조했습니다.

Posted by 영기홍
,
[간담회후기]

태국 민주주의 위기로부터 아시아는 무엇을 배울 것 인가?
-왜 태국에서는 시위와 쿠데타가 반복되는가?


 

5월 13일을 기점으로 태국 정부군이 시위대에 강경진압을 시작하면서 다시 국제 뉴스의 전면을 채우고 있다. 이 날 참여연대 3층에서는 태국간담회가 열렸다.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실행위원인 성공회대 박은홍교수와 태국에 위치한 포럼아시아(Forum Asia)에서 일한 한국인권재단의 이성훈이사가 발제를 맡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은홍교수의 발제>

박은홍교수의 발제는 민주주의 정치원리에서 본 태국 시위 세력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현 태국시위는 크게 두 세력이 대립하고 있다. 한 쪽은 반탁신세력이자 왕정을 지지하고 윤리정치를 내세우는 ‘노란셔츠’, 즉 민주주의민중연대(People’s Alliance for Democracy:PAD)이다. 다른 한 쪽은 친탁신, 1997년 헌법수호, 선출된 권력의 정당성을 옹호하는 ‘붉은셔츠’, 즉 반독재민주연합전선(the United Front for Democracy Against Dictatorship:UDD)이다.
 
각 세력은 어떤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을까? ‘노란셔츠’는 탁신의 부패와 독선을 혐오하고 국왕의 권위를 숭상한다. 내부 구성원들의 정치적 뿌리를 보면 왕정주의자들과, 군사정권 아래에서 반독재운동을 하던 사람들과 학생운동지도부가 포함된 레디컬(radical) 그룹이 포함되어 있는 좌우동거의 성격을 띄고 있다. 반면 ‘붉은셔츠’는 친탁신세력이자 쿠테타를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 강하다. ‘붉은셔츠’내 특히 친탁신계에도 반독재.학생운동, 사회운동에 몸 담았던 사람들이 있다.
 
이들이 갖는 정치원리는 어떤 것인가? ‘노란셔츠’는 ‘좋은 쿠데타(good coup d’éㅇ호tat)라는 이름으로 선거나 민주주의로 정치적 문제가 해결이 안되면 쿠데타로 문제를 해결해도 좋다는 입장이다. 반면 ‘붉은셔츠’는 상대적으로 선거민주주의를 절대옹호하며 어떤 쿠데타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본다.
 
이러한 시민사회의 분열양상은 단순히 탁신이라는 정치지도자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넘어, 근본적으로 ‘태국의 시민사회가 민주주의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지금 태국인들은 ‘최소의 민주주의, 최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합의가 필요한 시기이다. 판단하기로는 절차 민주주의에 대한 합의로부터 민주주의를 키워나가야 한다고 본다.
 
덧붙여 시위대를 분리시키고 있는 주제 중의 하나는 ‘지구화(세계화)’이다. 지구화를 찬성하는 탁신정권은 FTA를 추진하고 자유무역을 권장하는 일종의 지구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측면이 있다. 반면 반탁신세력 중에는 물질만능주의를 경계하는 불교문화 옹호론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탁신의 지구화 순응전략에 반대하는 입장을 갖고 있다.
 


<이성훈 이사의 발제>

인권위 이성훈 이사는 태국 사회의 4대 지배블록은 군부, 왕족, 자본가, 관료로 파악하였다. 이들 가운데서도 군부와 왕족변수가 현 상황을 가장 복잡하게 만드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시민사회에서 드러나는 입장도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다고 보았다. 시위과정에서 나타나는 국가폭력을 비판하고 생명권 존중의 입장을 표명하는 집단, 시위대 양쪽 진영에 대해 뚜렷이 양비론적인 집단, 그리고 어느 한 쪽에 속한 집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모든 정치적 혼란은 쿠데타를 인정하면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정치를 정치로 해결하지 못하고 사법부가 들어오는 상황은 좋지 않아 보인다는 지적을 하였다.
 
 
<토론>


현 사태의 분석을 넘어, 현실적인 연대와 선택의 문제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사회자인 박진영 팀장은 태국에서 온 소식에 의하면 노동운동과 시민운동까지도 모두 이분화되어 연대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양쪽이 연대할 수 있는 중간 영역을 만들어 낼 수는 없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더불어 차은하 간사는 태국 상황에 대해서는 국가의 폭력이나 생명권과 같은 일차적인 문제만 다룰 수 있을 뿐, 실제 시민운동을 하는 사람들과는 어떻게 연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답을 얻기 어려운 것 같다고 하였다.
 
박은홍교수는 다수결의 원리를 따르는 민주주의의 양면성을 지적했다. 절차로서의 민주주의가 수의 게임에 따른 다수의 지배이기에 분명히 폭력성이 있지만 소수가 다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기에 최적의 제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바, '노란셔츠'의 선거 결과 불복종운동은 절차적 민주주의의 안착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시민사회가 민주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먼저 묻고 답을 얻어야 할 것이라는 말로 마무리하였다. 


Posted by 영기홍
,

참여연대는 5/19~5/20 동안 광주 518기념재단이 주관하는 아시아 포럼에서 국제워크숍 <아시아민주주의: 공고화인가 혹은 위기인가>를 100명의 국내외 활동가들을 모아 진행했습니다. 이번 후기는 5월 20일 있었던 워크숍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광주아시아포럼 주요 내용 요약]


아시아민주주의: 공고화인가 혹은 위기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션2의 발제자인 Ms.Joy Chavez, Mr.Henri Tiphagne, Mr.Sinapan Samydorai(왼쪽부터)


세션 2 지역과 국제 차원에서의 민주적 통제를 위한 아시아 시민사회의 활동
사회: Mr. Adilur Rahman Khan, Secretary, Odhikar 창립자

[발제]
아세안과 시민사회의 대응) 아세안과 인권 ASEAN and Human Rights
Mr. Sinapan Samydorai, SAPA WG on ASEAN
동남아시아의 인권문제와 이주노동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세안헌장으로 인권표준을 설정하고 아세안 정부간 인권위원회라는 인권기구를 통해 인권증진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남아시아 지역협력연합과 개발협력
Mr. Henri Tiphagne, Executive Director, People’s Watch 상임이사
네팔,방글라데시,인도네시아,파키스탄,스리랑카와 같은 국가들은 많은 부분에 있어 지역적 협력(regional cooperation)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사아로부터 독립한 동티모르에서는 개발과 민주화를 위해 지역 시민사회 수준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미쳤었다.

지구적 경제위기가 아시아의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
Ms. Joy Chavez, Senior Research Associate, Focus on the Global South, 조정관
97년 경제위기가 아시아지역에 있은 이후 국제기구를 통해 경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의 실현은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한 기구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
 
[토론]
• 지역기구에서의 시민사회의 역할
Mr. Yap Swee Seng, FORUM-ASIA 사무처장
남아시아에서는 시민사회 연대의 특별한 경험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한 동티모르의 경우, 국가의 영역을 넘어 전 시민사회 차원에서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경험이 지역적 차원에서 스필오버(spill-over) 효과로 번저 나가길 기대한다. 광주와 타이완의 민주화 경험도 마찬가지로 번저나갈 수 있을 것이다.

• 글로벌 시대의 시민 사회의 도전
Mr. Kinhide Mushakoji, ARENA 멤버
민주주의를 이야기 할 때, 한 국가의 국민이나 시민들을 중심으로 한 국가적 제도주의를 넘어서는 글로벌 시대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신제도주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지구화된 시장경제와 최근의 지구적인 경제위기, 이민자들의 이동과 착취받는 이민자들을 생각할 때 더욱 그러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션3 행정부 감시, 사법부 감시, 입법부 감시 발제 모습(왼쪽부터)


세션 3. 국내에서의 민주주의 신장을 위한 아시아 시민 사회의 노력 – 분과 토론

[행정부 감시]
국가 수준에서 민주주의를 신장시키는 아시아 시민사회의 경험: 방글라데시 사례 연구
Mr. Adilur Rahman Khan, Secretary, Odhikar
방글라데시는 1991년 이후로 민주적인 정부 형태와 문화를 유지하는데 거듭 실패해왔다. 그러나 식민해방 이후 방글라데시 국민들이 벌여온 투쟁을 감안할 때 정치는 이들 국민의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행정부가 사법부에 가하는 정치 이용과 언론기관 장악은 민주주의를 신장시키기 위해 방글라데시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민주주의를 의미있게 하기: 행정부 통제-인도네시아에서 얻는 교훈
Mr. Danang Widoyoko, Coordinator, Indonesian Corruption Watch
인도네시아는 광범위한 부패가 큰 문제이다. 선거자금, 정부예산과 입찰, 카르텔화 된 정치구조등은 부패의 뿌리이자 원인이다. 특히 인도네시아 정당정치는 당원헌금과 같은 자금자족의 전통을 세우는데 실패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는 부패.사기 사건에 대한 탐사보고와 공공서비스 분야에 대한 감시를 해왔다.


[사법부 감시]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국민을 위한 사법개혁'이라는 노정
한상희교수,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건국대 법대 
1994년 설립된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는 '국민을 위한 사법개혁'이라는 방향을 설정하고 일상적인 권력감시활동으로서 모니터링을 하고, 사법제도개혁 논의기구에 참여하였다. 또한 검찰개혁운동과 부패 및 권력남용 법조인에 대한 고발운동을 진행해 왔다.


[입법부 감시]
참여연대 의정감시운동 소개
이지현 팀장,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국회운영 및 의원감시활동, 국회의원 총선거에서의 낙천낙선운동, 그리고 정치개혁입법을 위한 운동으로 정치자금법.국회법.공직선거법.정당법 등 정치제도 개혁운동, 선거 시기 유권자 운동을 진행해 왔다. 정치개혁을 위해 정치인들이 자신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둔 낡은 정치제도를 개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증거에 기초한 사회적 감사(監査)의 강화
Charas Suwanwela 교수, 태국 출라롱콘 대학
최근 태국에서는 공공정책과 부패, 권력남용을 감시하는 사회단체와 시민단체가 늘어가고 있다. 특히 부패에 대한 사회적 감사가 성공적이었던 4가지 사례는 <모기박멸 약제 건, 끌롱 단 하수처리장 건, 의약품 및 의료장비 구매 건, 도로교통 뇌물 건>등이 있다. 앞으로 사회적 감사의 강화를 위해서 정치중립성을 지향하고, 자료공개에 대한 법적 보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세션 4에서의 분과보고 발표



세션 4 국내에서의 민주주의 신장을 위한 아시아 시민 사회의 노력
사회: 남부원,  광주 YMCA 사무총장

[각 분과보고]
최경희, 한국 동남아연구소 연구원
한 국가가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그 사회 내에서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세력이 얼마나 존재하는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민주주의는 다층위로 진행되는 것이므로, 동남아 상층부는 얼마나 민주주의를 지지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며 동시에 동남아는 대중적 민주주의를 집행하는데 취약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Loh Kok Wah Francis, ARENA
아시아 민주주의에 있어서 시민중심의 정치, 지속가능한 민주주의의 발전, 헌법은 중요한 개념이다. 또한 정부에 대해 투명성, 책임성을 물을 수 있는 시민의 행동이 필요하며, 다면적 컨트롤이 필요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션5에서의 공동사회를 맡은 Mr. Yap Swee Seng과 이태호협동사무처장




세션 5 전략 및 향후 계획 논의

Mr. Yap Swee Seng, FORUM-ASIA
우리는 어떻게 아시아 지역의 민주주의를 위해 서로에게 지지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시민사회의 발판을 통해 민주주의의 공고화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 또한 동시에 지역사회 중심으로 움직여야 한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때론 안보와 민주주의가 충돌하고, 삼권에 대해서는 책임성을 묻기 어려운 현실이다. 우리는 민주주의의 후퇴를 막고, 부패와 투명성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제도와 의사소통이 필요하다.외부에서 도입된 제도가 우리의 공동체에 유효한 것인가를 물어야 한다. 제도들이 연관성을 가지고 조화롭게 발전하도록 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Posted by 영기홍
,

[참가자 후기]


아시아, 기후변화에 신음하다


기후변화는 사전예방의 원칙에 따라 접근해야 ...
선진국들의 책임을 묻는 ‘차별화된 책임 원칙’이 적용되어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여연대 아시아강좌 첫 강연자 안병옥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

희끗희끗한 머리에 중후한 목소리가 잘 어울리는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이 <참여연대>의 첫 번째 아시아강좌의 주인공으로 초대됐다. 기후문제가 다양한 아시아문제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는다는 점에서 기후변화를 첫 강좌로 잡은데 의의가 있었다. 20명 남짓의 다양한 직종의 청중들과 함께한 이번 강좌는 쉬는시간 없이 2시간 반 가량 진행되었다. 강의가 끝나고도 식지 않은 청중들의 열기는 열띤 토론으로 이어졌다.

안 소장은 현 정부의 환경정책에 대해 “이명박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많이 칭찬을 받고 싶어 하고 아시아국 사이에서도 우리나라가 주도하려고 한다. 하지만 문제의 해결이 전문가들 중심으로 집중되어 시민사회에서 (환경문제에 대해)충분히 논의하고 공유할 시간을 갖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연대의 중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사회자의 질문에 “기후변화문제에 있어 정부가 할 수 없는 일도 있고, 게을러서 할 수 없는 일도 있다. 환경문제의 특징은 국경이 없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환경문제는 국가의 울타리에서 해결책을 찾기 어렵다.”고 답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은 연사(이하 안병옥)가 강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발췌했습니다.

 
기후변화 문제, 어디까지 와있나?
기후변화는 정치경제학 문제이기도 하다. 이것은 쉬운 문제가 아닌 우울한 문제이다. 앞으로 참여연대 아시아 시민강좌에서 아시아 빈곤, 인권, 공정무역 등의 주제를 다루는데 모든 강의가 기후변화와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언론은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를 혼용해서 쓰고 있다. 지구온난화는 기후가 올라가는 것을 뜻하지만 지난 겨울 폭설, 한파 등이 심해지면서 ‘이게 무슨 온난화냐’ 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온난화의 경우 20년 정도의 오랜 기간의 기후변화 추의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다.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가게 되면 비나 눈이 내리게 되며 어떤 지역에서는 가뭄이 일어난다. 또 어떤 지역에서는 홍수가 일어나게 된다. 이같이 가변적인 기후 상태에 있는 것을 '기후변화'라고 한다.

기후변화를 통해 변화한 것 중 하나는 과학자들이 정치적 발언권을 획득했다는 점이다. 기후변화를 둘러 싼 국제적 논의는 빈곤문제, 관광문제, 재난지역문제 등이 있다. 특히 관광문제는 기후변화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예를들어, 유럽에서는 향후 지구의 빙하가 녹을 것을 우려해 캐나다에 빙하를 보러 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히말라야 빙하의 경우 2035년까지 다 녹아내릴 것이라고 IPCC는 보고하고 있다. 반면 기후변화에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이들 대부분은 미국 굴지의 석유회사에서 후원하고 있는 과학자들이라는 것이 문제이다.

이산화탄소가 색깔이 있었다면 사람들이 더욱 문제의식을 갖았을 것이다. 경제위기가 다시 한 번 올 것인데 그 이유가 유가상승 때문일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다. 국제에너지기구의 자원경제학수장 패이쓰 바이럴 박사는 “석유가 우리를 버리기 전에, 우리가 먼저 석유를 떠나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1. 아시아 기후변화와 국제사회 대응
환경난민문제는 국가안보의 문제로 접근해야한다. 이미 미국은 이 문제를 접근하고 있다. 정치난민보다 많은 것이 환경난민이다. 특히 아시아의 겨우 전 세계의 인구의 반이 살고 있기 때문에 환경난민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할 것이다. 만약 기후변화로 나라를 떠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면 이웃나라로 갈 수 밖에 없을 것인데 한 나라가 난민을 받아들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기후변화문제와 관련해 국제사회가 얼마만큼 온실가스를 줄이자는 수치는 나와있다. 하지만  코펜하겐 회의에서 합의가 되지 않았다. 만약 합의가 되었다 하더라도 앞으로의 피해를 줄일 수는 없을 것이다. 이산화탄소는 잔류기간이 100년이고, 당장 온실가스를 줄인다 하더라도 이미 100년부터 누적된 이산화탄소는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일어날 피해를 어떻게 대비하느냐가 중요하다.

과학자 중 10명 중 8명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공감하고, 2명만이 자연적인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는 사전예방의 원칙에 따라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합의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발생시킨 국가가 누구냐 생각해 봤을 때 선진국이 훨씬 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칙을 세워야 한다.

우리는 주로 미국의 패권주의에 대해 경계하고 비판해왔다. 하지만 코펜하겐 회의에서 드러난 것은 미국의 힘이 더 이상 과거와 같이 크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이 미국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G7에 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G7국가들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기후변화문제는 소위 승자와 패자가 존재한다. 어떤 나라는 기후변화에 따라 집중적인 피해를 받는 반면 어떤 나라는 단기간에 농사가 잘 이루어져 득을 얻기도 한다. 특히 아시아 지역이 기후변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아시아에서 피해가 가장 빠르게 나타나고 있기도 하지만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지역의 개발도상국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시아 지역의 기온상승 전망을 보면 2100년까지 많게는 6℃ 정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정도까지 올라가면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게 되고 여러 가지 악재가 나타날 것이다. 아시아지역에서는 곡물농사를 많이 짓고 있기 때문에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내릴 경우 그(영구동토층) 아래 이산화탄소보다 21배나 강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메탄가스가 나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지구의 온도가 빠른 속도로 올라가게 될 것이고 이는 침엽수를 베고 살아가는 북방아시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2. 기후변화와 물부족
북방아시아에서 봄과 여름시즌에 산불이 늘고, 아시아의 대규모 델타와 저지대가 해수면 상승에 의해 침수될 것이다. 또한 홍수와 가뭄피해에 따른 물 부족 현상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기온이 올라가면 열 스트레스로 인해 죽어가는 사람이 생기게 되는데  특히 저소득계층과 노인층의 사망위험률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전염병을 증가시키게 된다. 결국 물 부족에 따른 나라간 다툼이 생기게 되는 것은 불보듯 뻔하다.

3. 기후변화와 빈곤
아시아국에서 하루 2달러미만으로 살아가는 인구수가 12억명이다. 특히나 아시아가 기후변화에 취약한 이유는 높은 인구밀도와 빈곤 때문이다.  저지대에 대도시들이 많이 위치해 있다는 점과 그러므로 해수면 상승에 취약하다는 점, 물 공급의 위기와 자연재해가 빈번하다는 점에서 아시아는 기후변화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4. 제안
아시아지역은 하나로 묶이기 힘들다. 각 국가가 역사적 바탕이 다르고 중국과 같은 강국에 대한 경계심도 높다. 또한 개인적인 생각으로 언어 문제와 사회, 경제적인 조건이 다른 것도 큰 이유가 될 것이다.
기후변화가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면 대비를 해야한다. 따라서 가장 피해를 많이 받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를 같이 나누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최대한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시민사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성을 통해 기업과 정부를 견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후난민들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진지하게 시작되어야 한다.

질의& 응답

Q. 이명박 정부의 환경정책의 실제와 수사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A. 현 정부는 녹색과 성장이 오묘하게 결합되어 있다. 잘 맞지 않은 것 같기도 하고 맞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이 정부 정책의 방점은 ‘성장’에 찍혀있다. 온실가스를 줄여야 할 몫을 산업계에는 적게 넘겨주었다. 그 이유는 산업계는 지금까지 많이 노력을 해 왔다는 것이다. 내년부터 전기가격 인상부터, 유류세 인상 등 여러 가지 변화가 있을 것이다.

Q. 내가 인식하기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굉장히 높다고 본다. 일반 시민들의 높은 인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면 환경관련 운동들이 일반 생활과 직결된 운동을 전개해 나간다면 더 효율적일 것이다. 혹시 이런 연계운동 전개가 있는가.
A. 국민의 환경 인식수준이 높다는 주장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은 전체국민으로 보면 높지 않다. 한나라당이 4대강을 들고 나올 때 민주당은 임진강운하를 들고 나왔다. 왜냐하면 그것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나홀로 차량도 아주 많다. 이것은 유럽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다.
 
물질적인 이해관계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것만 중요한 건 아니다. 제주도 올레길의 경우 그냥 걷는 것 뿐이지만 5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올레길에 그렇게 열광할 줄 누가 알았겠는가. (환경에 대한)인식의 과도기라고 생각한다. 또한 환경단체들만의 고민도 있다. 일상생활에 대해서도 개입하고 싶은데 4대강, 대운하 같은 큰 정책사업이 생기면 그것에 집중하게 된다. 생활에 대한 개입은 환경단체가 앞으로 풀어야 할 문제이다.
 
Q. 기술자나 엘리트 중심으로 환경문제가 다루어지고 있고 일반인들의 생각은 묵살되고 있다. 엘리트가 아닌 일반사람들이 정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그 주장에 동감한다. 그것은 독선적이고 성실하지 못한 행위이다. 환경전문가들은 권력과 결탁한 면이 있다. 그래서 이들에게 전적으로 맡겨서는 안 된다. 정보가 가장 빠른 게 NGO들이다. 이들이 차분하게 잘 조직되어 감시 활동을 해야한다.

작성: 김지나(아시아강좌 수강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시아 강좌 수강자 일부)

두번째 아시아 강좌는
5월 27일(목), 이태주 선생님(한성대 교수, ODA워치 대표)을 모시고 아시아의 빈곤 이슈를 살펴봅니다. 개별 강좌 참여가 가능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영기홍
,
한국시민사회단체는 지난 5월 19일 태국대사관 앞에서 태국 정부가 '붉은셔츠'시위대를 무력 진압하는 것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태국 정부는 유혈 진압을 중단하라

현재 태국에서는 군대가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살해하고 있다. 한국 시민사회와 민중운동 진영은 30년 전 군부의 광주 민중 학살을 떠올리게 하는 태국군의 유혈 진압을 엄중하게 규탄한다.

지난 주말부터 태국 군대가 ‘붉은 셔츠’로 불리는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30명이 넘는 시위대가 사망하고 수백 명이 다쳤다. 끔찍한 참사가 발생했음에도 태국 정부는 군인들이 시위대에 섞여 있는 “테러리스트들”을 상대로 발포했다고 강변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태국 군대의 비이성적인 진압으로 희생된 사람들은 비무장 시위 참가자, 의료진, 10세 소년, 캐나다 언론인과 지나가던 쇼핑객들이었다. 해외 언론들은 태국 군이 의도적으로 시위대를 상대로 정조준 사격을 했다고 보도하고 있고 시위 참가자들에 따르면 정부의 발포로 죽은 사람의 수는 50명이 넘고 있다.이러한 태국군의 붉은 셔츠 시위대에 대한 야만적인 진압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에도 군대의 발포로 인해 30명이 사망했다.

붉은 셔츠로 불리는 시위대는 올해 3월부터 현 민주당 정부의 사퇴와 새로운 총선 실시를 요구하면서 수도 방콕에서 무기한 점거 시위를 시작했다. 현 태국 정부는 2006년 9월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의 후원을 받아 2008년 말 집권한 이후 반복해서 총선을 곧 실시하겠다고 약속해 왔다. 붉은 셔츠 측에서 총선실시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는 것은 지극히 정당한 요구이다.

그러나 태국 정부는 시위대와 대화를 시도하기는커녕 “협박에 굴복할 수 없다”고 말하며 강제 진압을 시도하면서 많은 시위대들이 희생당하고 있는 것이다. 군대의 발포에도 불구하고 붉은 셔츠 시위대가 점거농성을 지속하자 태국 정부는 마지못해 협상에 응했다. 협상을 통해 양측은 9월 의회 해산과 11월 총선 실시, 유혈 진압 책임자 조사 및 처벌 등에 합의했다.

그러나 합의에도 불구하고 태국 정부는 유혈 진압 관련 책임자에 대한 조사의지가 없었으며 이에, 시위대가 책임자 조사를 요구하며 시위를 지속하자 정부는 11월 총선 실시 약속도 파기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지난 주말 직전 붉은 셔츠 지도부가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협상을 재개하자고 요구했지만 오히려 태국 군대는 시위대를 포위하고 주변을 실탄 사격 지대로 설정했다. 현재 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비극적 상황의 책임은 전적으로 태국정부가 져야 할 것이다.

한국 시민사회와 민중운동 진영은 결코 태국 정부의 더 이상의 유혈진압을 묵과할 수 없으며 지금이라도 시위대와의 협상에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아울러 이번 학살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처벌이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광주의 아픔을 기억하는 우리는 태국민중들과 연대하여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중단 없이 전진할 것이다.

태국 정부는 학살을 즉각 중단하라!

2010년 5월 19일 기자회견 참가자 일동
국제민주연대, 다함께, 대학생나눔문화, 랑쩬, 사회당,
인권연대, 진보신당, 참여연대, 한국진보연대(가나다순)


기자회견문 영문(Statement to the press)

              Thai government must immediately stop the deadly crackdown on protestors

The Thai army is slaughtering Thai civilians. We in the Korean civil society and popular movements, who remember the massacre of Gwangju citizens by the Korean military junta three decades ago, strongly denounce the Thai army's use of deadly force against its own citizens.

Over 30 people have been killed, with hundreds injured, since last weekend when the Thai army began firing live ammunition at 'Red Shirt' protestors. The Thai government insists the soldiers were shooting at "terrorists" in the midst of protestors - "terrorists" who turned out to be unarmed protestors, medical staff, a ten-year-old boy, a Canadian journalist, and shoppers who happened to pass by the area.

International media sources report that Thai soldiers fired shots deliberately aimed at protestors, while protestors testify to more than 50 people dead since troops opened fire.
This isn't the first time the Thai army drew blood from protestors. Troops had already shot dead 30 people last April.

The Thai protest movement, also known as the 'Red Shirts', had begun an indefinite occupation of the streets of Bangkok since March this year, demanding  that the current government step down and new elections be held.

The current Thai government, since coming to power at the end of 2008 on the back of a military coup in September 2006, repeatedly promised to hold elections in due time. Therefore the Red Shirts are entirely justified to hold protests demanding elections.

But rather than engaging in dialogue with the protest movement, the Thai government is attempting to put down the movement through violence, resulting in the horrible bloodshed we are witnessing.

The government agreed to negotiate only after the Red Shirts held firm in the face of the army shootings. Through negotiations it was agreed that parliament would be dissolved in September, elections would be held in November,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shooting of civilians would be brought to justice.

Despite the agreement, the Thai government showed no commitment to investigate those responsible for the killings, prompting the Red Shirts to continue protesting. And as protests resumed, the government withdrew even its promise to hold elections in November. Shortly before last weekend, Red Shirt leaders demanded resumption of talks in order to avoid further bloodletting. The government answered by laying siege to the protestors and declaring the surrounding areas a "live fire zone." Responsibility for the ongoing tragedy in Thailand lies squarely with the Thai government.

We in the Korean civil society and popular movements can no longer tolerate the savage crimes being committed by the Thai government, and demand that it immediately resume negotiations with the Red Shirts. It is also critical that those responsible for the massacre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punished for their deeds. We who remember the tragedy of Gwangju will keep marching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solidarity with the Thai people.

Stop the killing NOW!

May 19, 2010, participants of the press conference at the Thai embassy, Seoul


 

Posted by 영기홍
,


원조의 효율화와 정책일관성을 유지하지 위해서는
원조전담기구를 마련해야


지구촌빈곤퇴치네트워크, 참여연대 ODA정책위원회(위원장: 손혁상 경희대 교수)는 오늘(26일) ‘국제개발협력 기본법 시행령’을 준비하고 있는 국제개발협력정책관실에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서를 전달했다. 이들 시민사회단체들은 여전히 국제개발협력 정책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저해시키는 이원화된 원조체계와 분산된 사업 집행체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원조전담기구를 마련해야 하며 통합적인 원조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 기본법의 한계를 최대한 보완하기 위해서는 1) 협력대상국에 대한 정의를 구체화해 정부의 자의적인 판단을 배재하도록 하고, 2) 주관·시행기관간의 협의·조정 절차를 반드시 거치고, 3)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이하 협력위원회)가 실질적인 정책 조정·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권한, 의무 및 절차를 명시하고, 4) 국제개발협력 관련 민간 연구자 및 활동가의 협력위원회, 실무위원회 참여를 보장하고, 5) 민간국제개발협력단체에 대한 지원 확대와 구체적인 선정기준, 절차를 마련해 공개하고, 6) 심층적인 사업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지표개발에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7) 사업의 투명성,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사전타당성조사 및 개발사업과 관련한 일체의 정보를 공개할 것을 제안했다.


끝으로 시민사회단체들은 인도주의적 원조철학을 강조하며 수원국의 인권향상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염두하고 정부가 원조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시행령에 담아 낼 것을 요청했다.


※ 별첨


표-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시행령」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주요 의견 목록

중요 항목

시민사회단체 의견

협력대상국 정의 및 기준

● ‘협력대상국’을 선정 기준 구체화, 한국 ODA철학과 가치를 담아내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 명시

● 협력대상국의 범위를 OECD/DAC이 정한 최빈국 우선 원칙을 바탕으로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우선하는 내용 배제

● 중장기적 원조지원 계획 및 전략 수립시 유·무상 주관기관 정례적 사전협의 제도화

주관기관 권한 및 협의·조정 절차

● 시행기관은 사업을 시행하기 전 주관·시행기관과 협의·조정 과정 이행

● 주관기관의 권한 위임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마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역할

● 협력위원회의 정책 조정·심의 역량을 강화할 실질적인 권한 명시

● 협력위원회의 구성과 조정기능, 회의 방식, 실무위원회와 민간자문위원회와의 관계까지 구체적인 방식 및 절차 명시

● 실무위원회와 민간자문위원회의 역할과 의무 명시

● 대통령령으로 정할 행정기관의 목록 구체화

● 민간 전문가의 수(비율)와 자격요건 등에 대해 적절한 기준 제시

민간시민단체 및 기관의 참여

● 협력위원회, 실무위원회, 민간자문위원회에 참여하여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등 시민사회의 의견반영

● 민간자문위원회 설치를 필수 사항으로 변경

● 국제개발협력 관련 민간 연구자 및 활동가에 대한 선정기준, 역할 명시

● 개별 위원회의 권한과 역할 명시

민간국제개발협력단체에 대한 정부 지원

● 개발협력 사업을 수행하는 단체와 ODA정책에 대해 정책 제안과 감시활동을 하는 시민단체 포함

● 민간협력단체에 대한 선정기준, 선정절차, 사업 평가 시스템 구체화

● 계획 단계부터 민간단체 참여 조항 명시

● 지원 단체 선정이유 및 기준 공개

● 민간협력단체의 개발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 기업의 조건(환경) 마련 명시

● 민간협력단체의 해외 개발사업 수행에 필요한 정보 제공

● 민간협력단체에 전체 ODA 예산의 5%이상 지원 명시

평가 기준

● OECD/DAC에서 통용되는 객관적인 지표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사업타당성, 효과성, 관련성에 대한 구체적인 지표와 사업진행 중간평가 지표, 사후평가 지표, 비구속성, 수원국과의 파트너쉽 관계 등 심층적인 평가 근거 명시

● 수원국 주민들의 아동, 여성의 인권향상 및 성평등 실현,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다양한 가치적 기준 포함

● 평가 지표 개발에 개발협력 관련 시민사회단체의 참여 명시

정보 공개

● 국제개발협력의 방향, 주요 실적 및 평과 결과, 공개 대상, 범위 및 기준 공개를 의무화

● 사업사전타당성조사, 사후평가서, 사업의 예결산안, 항목별 명세표 공개 명시

● 사업 건수나 사업 규모(액)에 대한 통계자료 공개 명시

● 평가 자료를 포함해 국제개발협력 전반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종합정보 제공체계’ 구축 구체화







 

Posted by 영기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출처: 뉴욕타임즈

[기획 간담회] 참여연대, 성공회대학교 아시아NGO 정보센터

태국 민주주의 위기로부터 아시아는 무엇을 배울 것 인가?
-왜 태국에서는 시위와 쿠데타가 반복되는가?

태국은 1932년 첫 군부쿠데타로 절대왕정이 붕괴된 이후 지금까지 총 19차례의 군부쿠데타가 있어 온 나라입니다. 이후 탁신의 권위주의적 행태를 비판하는 지식인, 시민운동 세력(레드셔츠)과 탁신의 친서민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농민, 시민세력(노란셔츠)으로 양분되어 연이어 시민사회 사이에서 충돌이 있어왔습니다. 

올해 한 달간 반정부 시위를 벌여온 레드셔츠는 최근 4월 10일 군경과 충돌하여 24명이 사명하고 870여 명이 부상당하는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이후 태국의 정치 상황은 매우 불안해지고 현재 반정부 시위대(레드셔츠)는 시위대를 강제해산할 경우 내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우리가 언뜻 생각하기에 태국의 정치 상황은 참으로 혼란스러워 보입니다.

왜 지금까지 태국에서는 군부쿠데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시민사회간의 반목과 갈등이 끊이지 않고 벌어지는 것일까요?
이들이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고 과연 이들은 누구일까요?
아시아의 민주주의는 어디까지 와있는 것일까요?
아시아의 이웃국가인 한국에 있는 나는 태국의 시위와 유혈진압과정을 어떻게 보아야 하며 어떻게 관계 맺어야 할까요?

이러한 의문이 우리의 마음속에 있는 동안 그 첫 질문을 던지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봄날 저녁, 여러분들을 참여연대 간담회에 초대합니다.

◦ 일시 : 2010.5.13(목), 오후 4시
◦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 홀

◦ 발제1: 태국 민주주의 위기로부터 아시아는 무엇을 배울 것 인가?
박은홍(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 발제2: 태국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역할
이성훈(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 박은홍 선생님은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실행위원으로 태국 정치상황과 시민사회에 대해 칼럼을 써왔습니다.
* 이성훈 선생님은 태국에 위치한 국제인권단체인 포럼아시아(FORUM-ASIA)에서 수년간 아시아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해 활동했습니다. 

◦ 참가신청: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02-723-5051, pspdint@pspd.org
 (참가비는 무료이며 참석여부를 사전에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osted by 영기홍
,
5월 광주아시아포럼 초대
아시아 민주주의-공고화인가 혹은 위기인가
Asia Regional workshop on Human rights and Democracy:
Democracy in Asia: Progress or Crisis?

안녕하세요.

지나간 20~30년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저마다 크고 작은 정치변화를 겪으며 민주화의 길을 걸어왔습니다. 민주화 과정에서 많은 나라가 식민지 시대의 왜곡된 역사를 극복하고 폭력적인 군부나 권위주의적 정부에 대항하여 민주적 제도를 안착시키고 인권을 증진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열정과 헌신은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요소 입니다.
그러나 최근 신자유주의와 지본의 성장, 911이후 노골화된 안보중심의 국제관계는 오랜 기간 아시아 국가들이 이루어 온 민주화의 성과를 역행시키고 있습니다.

참여연대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이웃들에 시민사회의 역할과 더불어 이루어낸 민주주의 성과를 짚어보고, 오늘날 처해있는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해가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시민사회의 연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아시아 민중의 인권을 위협하고 민주주의가 역행되고 있는 국가별 사례를 정리하고 시민사회단체들의 대응전략과 활동경험을 공유하여 아시아 시민사회가 처한 민주화의 도전들을 넘어설 공동의 전략을 만들고자 합니다. 이 자리는 관련 활동가 뿐만 아니라 주제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참석이 가능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일시: 5월18일(화)~5월21일(금)
○ 공동주최: SDMA(Solidarity for Democratic Movement in Asia), Forum Asia, PSPD, 아레나(ARENA),동남아학회

○ 워크숍 세부 일정 (워크숍은 5/19~5/20 양일 개최)

5/19(수), 오후 2시
오프닝 얍(포럼아시아 사무처장)
기조발제 조희연(성공회대 교수)

세션I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현황
• 미얀마: Ms. Khin Ohma (Burma Partnership, 간사)
• 네팔: Mr. Subodh Raj Pyakurel(INSEC,사무처장)
• 스리랑카: Mr. Ruki Fernando, (Law Society Trust, 분쟁지역 인권 담당자)
• 타이완: Taiwan Association for Human Rights 담당자 (TBC)
• 인도네시아: Mr. Mufti Makaarim, (Imparsial 멤버)
토론

5월20(목), 오전 9시 30분
세션2 지역과 국제차원의 민주적 가버넌스를 위한 아시아 시민사회의 경험
• 아세안에 대한 시민사회의 대응: Mr. Rafendi Djamin(AICHR 이사)
• 남아시아 지역 협력기구과 개발협력: Mr. Henry Tiphagne, (People’s Watch,사무처장)
• 지구적 경제위기가 아시아의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 Ms. Dorothy Guerrero(FOCUS on the Global South,선임연구원)

5월20(목), 오후 2시
세션3 국가차원에서의 민주화 진전을 위한 아시아시민사회활동(모둠토의 형태)
행정감시/사법부감시/ 의정감시

세션4 종합토론
(프로그램 확정 중에 있습니다)

참가문의: 국제연대위원회 손연우 간사, 02-723-5051, yeonu@pspd.org 
* 참가비는 없으며 숙박비용은 518기념 재단에서 제공합니다.
* 518재단이 마련한 행사에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2010 광주아시아포럼 개괄

5․18 30주년을 기념하는 대표적인 국제행사로 5․18정신을 국제적으로 홍보하고 아시아 시민사회를 조직하는 공간으로 활용

□ 개    요
❍ 기    간 : 2010년 5월 17일~22일
❍ 장    소 : 김대중 컨벤션센터
❍ 주    제 :‘아시아의 어제, 오늘, 미래’
❍ 공동주관
·광주외국인노동자센터, 광주환경운동연합,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아레나, 아시아네트워크, 아시안브릿지,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전일본이주네트워크, 주거복지연대, 참여연대, 포럼아시아,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5·18기념재단
❍ 참 가 자 : 국내외 시민사회활동가 500명(국외참가자 150명)
❍ 후    원 : 김대중평화센터, 오슬로평화인권센터, 성공회대학교

□ 행사일정
❍ 5월 17일 : 참가자 도착, 전야제 참석
❍ 5월 18일 : 5․18 30주년 기념식, 광주인권상 시상식 참석
❍ 5월 19일 : 개막식, 참가 단체별 워크숍 진행, 참가자 환영만찬
·기조연설 : 이희호 여사, 2010 광주인권상 수상자
❍ 5월 20일 : 참가 단체별 워크숍 진행, 자원활동가 문화제 및 연대의 밤 행사
❍ 5월 21일 : 포럼 대회의, 참가자 선언문 발표, 거리행진, 폐막
❍ 5월 22일 : 현장방문, 해산


 

Posted by 영기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