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경우에도 유혈진압은 정당화 될 수 없다

3주가 넘도록 반정부 시위가 계속되어 온 태국에서 급기야 유혈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다.

4월 11일 시위대와 군경의 충돌로 최소 21명이 사망하고 870여 명이 부상당했다. 태국정부는 자신들이 발포한 것은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일촉즉발의 긴장된 상황이 지속되고 있었음에도 군대를 시위대 해산에 동원하여 유혈사태가 발생한 것은 명백히 태국정부의 책임이다.

태국 정부는 조속히 유혈사태의 책임소재를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책임자를 규정에 따라 처벌함으로써 유사 사태의 재발방지책을 강구해야 한다.

레드셔츠로 대변되는 친탁신 시위대와 옐로셔츠로 대비되는 반탁신 세력간의 충돌은 태국의 민주주의와 인권 발전에 큰 도전과 시련을 던져주고 있다.

우리는' 부패한 재벌 정치인의 포퓰리즘 정책에 선동된 일부시위대의 난동'이라는 기사의 이면에 숨겨져 있는 오랜 세월 소외되었던 태국 민중의 정치경제적 현실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태국 정치 역사에서 대다수 사회적 약자와 민중은 시혜와 동정의 대상이었고 기득권 세력 간의 다툼에서 동원되고 희생되어 왔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어떠한 정치적 명분도 군부의 무력 개입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무력은 또 다른 형태의 무력을 불러올 뿐이다.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와 원칙에 입각한 대화와 토론, 자유롭고 공정하고 선거, 그리고 권력 분산과 법치에 입각한 민주적 가버넌스가 더디더라도 문제해결의 올바른 접근임을 강조한다.무력에 의지한 권력 획득과 유지는 태국의 민주주의를 과거로 돌리는 처사이며 그동안 민주화 운동의 성과를 부정하는 조치이다.

올해로 광주 민주화항쟁 3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시민사회는 이번 태국 사태를 바라보며 충격과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 여전히 도시 한복판에서 무장한 군인들이 시위대를 향해 총을 겨누고 있는 모습은 그 이유가 무엇이든, 광주의 아픔이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계 곳곳에서 되풀이 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태국 유혈사태를 통해 민주화는 아시아에서 과거가 아닌 현재진행형의 과정이며 아시아 시민사회 공동의 과제임을 다시 확인한다.

이를 계기로 한국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은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연대에 나설 것이며 아울러 태국정부에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하나, 태국정부는 유혈사태의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

하나, 태국정부는 시위진압에 군대 동원을 금지하고 군대의 정치개입을 금지하라

하나, 언론의 자유롭고 안전한 취재를 보장하고 인터넷 검열을 해제하라

하나, 민의가 제대로 전달되고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하라

2010년 4월 14일

군인권센터, 대구참여연대, 민주노동자연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서울경기인천 이주노동자노동조합, 인권과 평화를 위한 국제민주연대,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참여연대

Posted by 영기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6일 총회 모금    /   2월25일 아이티간담회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지난 1월 강진으로 많게는 사망자가 20만명을 넘는다고 하는 아이티에
회원들의 성금을 전달했습니다.  

지난 3월 한 달 동안
아이티 모금활동에 참여해주신 분들께 깊이 감사 드립니다.
총 모금액은 652,800원이었으며 성금은 '아름다운가게'를 통해
아이티에 중장기 복구 지원을 하고 있는 옥스팜(Oxfam)에 전달됩니다.

먼 땅 아이티인들에게 보여주신
회원님의 관심과 사랑을 전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었음이 기쁩니다.
 
모금 이전에 2월에는
‘재난 속에 묻혀버린 아이티의 과거와 현재,
아이티의 재난을 보는 우리의 시각’이라는 제목으로
활동가, 전문가를 모시고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아이티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이티의 재난과 이후의 재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관련글보기]http://blog.peoplepower21.org/International/40309
 
올 해 들어 재난 소식이 너무 잦은 것 같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앞으로도 여러분과 함께 고민하고 공유하고 싶습니다.



Posted by 영기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따뜻한 5월.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에서 아시아 강좌를 엽니다.

<우리 안의 아시아, 우리가 꿈꾸는 아시아>

가깝고도 익숙한 아시아. 하지만 정작 아시아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지 되돌이켜 본다면, 우리에게 아시아는 또 너무나 낯설기만 합니다. 아시아에 대한 우리의 무지와 편견을 넘어 아시아 인권, 빈곤, 환경 문제와 이를 극복하려는 시민사회의 경험과 실천을 만나봅니다. 아시아와 새롭게 관계 맺는 방법, 이웃이 되는 방법을 배우고자 합니다. 우애와 연대가 넘치는 우리가 꿈꾸는 아시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강좌 진행

05.20  아시아, 기후변화에 신음하다                   
         강사: 안병옥 기후 변화행동연구소 소장

05.27  빈곤을 통해 본 아시아인의 삶과 우리       
         강사: 이태주 한성대 교양학부 교수

06.03  아시아 인권, 시민사회 연대의 끈이 되다     
         강사: 이성훈 경희대NGO대 학원 겸임교수

06.10 국제개발협력, 아시아의 눈으로 바라보기   
         강사: 송진호 한국YMCA전 국연맹 기획실장

06.17  공정여행·공정무역, 희망의 끈이 되다        
         강사: 임영신 평화여행가, 엄은희 iCOOP생 협연구소 연구원

06.24 ‘우리’안의 아시아를 되짚어 보다                
         강사: 이대훈 평화학 연구자

일   시 : 2010년 5월20일~6월24일 목 오후 7시~9시 30분 총6회
장   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지하1층)
수강비 : 6만원(참여연대 회원 50% 할인)
 
■ 아시아 강좌는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와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공동주최로 진행됩니다.

■ 수강신청방법
느티나무 홈페이지(http://academy.pspd.org/main)에서 로그인 하신 후 강좌 수강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수강신청 후 계좌이체를 해 주셔야 수강신청이 최종 완료됩니다.

입금계좌 하나은행 162-054331-00805 예금주 참여연대

입금 후 3일 이내에 마이페이지의 결제상태를 결제완료로 관리자가 변경해 드립니다. 수강 신청자와 입금자 이름이 다를 경우, 반드시 담당자(people@pspd.org)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자원활동가는 무료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자원활동가  활동 내용: 강의전 세팅, 강의 후기 쓰기

* 강좌 및 자원활동가 신청문의는 아래로 해 주세요.
  국제연대위원회 손연우.  
  이메일 yeonu@pspd.org   전화번호 02) 723 - 5051





Posted by 영기홍
,
참여연대는 4월 10일 국제인권단체 Earth Rights International등 전 세계 단체들과 공동으로 현재 버마에 투자하고 있는 자원개발 기업인 프랑스의 토탈, 미국의 쉐브론, 태국의 국영석유회사에 버마 정권에 지불한 금액을 포함한 회계내역을 공개할 것을 요청하는 공동 서한을 제출했습니다. 

 

버마 투자 석유회사에 대한 회계 공개 요청서

석유회사 Total, Chevron, 그리고 PTTEP(국영 태국 석유공사)는 버마 당국에 대한 그들의 지출을 자발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이들 회사는 버마 석유 추출 지역에서 회사의 투명도와 책임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서명에 함께하고 있는 NGO들과 노조, 투자 회사, 그리고 학계의 전문가들은 Total, Chevron, 그리고 PTTEP사가 1992년부터 버마 정부에 사업수익의 대가로 지불해 온 내역을 밝힐 것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세금, 요금, 로얄티 대금, 보너스, 사회보장료 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1992년 Total사는 MOGE(미얀마 석유공사)와 버마 안다만 해에 있는 천연가스에 대한 시장권 및 개발, 탐사에 대한 공유 계약을 체결하였다. Total사는 현재 버마 석유-천연가스 자원을 태국까지 운송하는 파이프라인인 야다나(Yadana)를 관리하는 Chevron과 PTTEP와 함께 컨소시엄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1990년대 초반, 야다나 파이프라인을 연결하였고 1996년부터 1999년까지 관련시설을 건설하였다. 이후 2000년도 부터 판매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파이프라인으로 운반된 천연가스는 태국 국경 두 곳에 위치한 발전소로 공급되어 방콕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는 단일 규모로는 버마 군사정부의 가장 큰 수입원이 되고 있다.

2009년 10월, Total사는 버마 야다나 천연 가스 프로젝트에서 버마 당국이 받는 이익이 미화로 2억 5400만 불에 달한다고 공개하였다.

우리는 Total사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첫 걸음을 딛은 것에 대해 환영하며,  Total S.A를 비롯하여, Chevron과 PTTEP가 1992년 이후의 모든 이익을 근시일내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버마 당국에 지불한 모든 내역도 함께 공개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우리는 Total사가 야다나 파이프라인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민들을 위한 사회-경제 지원 프로젝트에 소요된 금액도 지출한 돈의 흐름과 규모 및 출처가 포함하여 공개하기를 요청한다.  

Total, Chevron, 그리고 PTTEP가 1992년 이후 버마 당국에 지불한 납득할 수 있는 데이터와 정보를 공개한다면, 버마 국민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뿐 만 아니라, 이 회사들이 버마에서 사업하는데 있어서도 보다 건설적인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이 회사들의 주식 가치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익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기업뿐 아니라 해당기업의 본사가 소재한 각 국가들도, 가스개발로 벌어들인 이익을 버마 당국이 잘못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인권침해 등의 문제에 대해서 공범으로 몰리지 않을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게 되며 이는 버마에서 새롭게 채굴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하려는 다른 기업들에게도 건설적인 메시지를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버마에서 이익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Total, Chevron, 그리고 PTTEP의 재량에 달려있다. Total이 미얀마석유공사와 맺은 계약은 버마 국민과 Total의 파트너였던 유노칼(Unocal)과의 미국 법원에서의 인권침해 소송과정에서 공개되었다. 이 회사들이 버마 정부에 지불한 금액을 공개하는 것은 계약상에서도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Total사가 2009년에 버마 정부에 지불한 총 액수만을 공개한 것처럼 다른 회사들도 재량에 따라 공개할 수 있다.

더욱이 Total사는 공개적으로 “엄격한 투명성을 약속”하면서, 자원부국인 나라에서 자원개발로 발생하는 이익이 일반 국민에게 제대로 분배되지 않고 재정이 투명하지 않은 것은 허약한 해당 국가의 정부 능력을 반영하고 있으며 분쟁을 키우는 이유가 된다고 지적하였다. 더욱이 Total사와 Chevron은 각각 채굴산업 투명성 이니셔티브(EITI)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나 각 국가별로 정부에 얼마를 지불하고 있는지는 공개하고 있지 않고 있다.

채굴산업에 있어서의 이익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한 요소이자 자원이 풍부한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안정성과 훌륭한 거버넌스를 증진하며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에 공헌한다. 외국기업이 해당 국가에 지불하는 금액을 투명하게 하는 것은 해당국가가 재원개발 이익을 활용하는데 있어 책임성을 증진하고 해당 국가 주민들이 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을 향유할 수 있는 몫을 증가시킬 수 있다.

버마는 상대적으로 국가 수입의 상당 부분이 가스 판매로 이루어지고 있고, 채굴산업에 있어 이익이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할 여러 이유들이 결합되어 있다. 그 주요한 이유는 좋은 가버넌스 구조가 부재한 버마는 정부기관의 부패가 보고되고 있으며, 자원개발 프로젝트와 연관된 심각한 인권침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Total과 Chevron, PTTEP를 위해, 야다나 가스프로젝트의 초기 투자 시기에 버마 군사정권에 의해 발생된 광범위한 인권침해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라 믿고 있다. Total, Chevron, 그리고 PTTEP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핵심요소인 이익의 투명한 공개를 버마에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것이다.

Posted by 영기홍
,


지난 2006년 9월 19일 타이에서 일어난 쿠테타는 타이가 이제 민주주의를 차근 차근 뿌리내리고 있다고 믿고 있던 국제사회를 경악시켰다. 당시 쿠테타의 주역들은 탁신의 부패와 그의 분열주의 정치, 헌법상 보장된 독립기관에 대한 침해, 군주제에 대한 위협 등을 들어 자신들의 반(反)헌정적 행위를 정당화하였다. 손티 분야랏글린 육군총사령관을 의장으로 하는 <입헌군주제하의 민주개혁평의회>는 한때 ‘국민헌법’으로까지 격찬을 받던 1997년 헌법을 폐기하였다. 그해 10월 1일에 임시헌법이 공포, 시행되고 전 육군총사령관 수라윳 출라논 추밀원 의원이 과도 수상으로 취임했다.

쿠테타는 1992년 시민항쟁으로 훼손된 군의 자존심과 이들의 정치 개입을 일거에 회복시켰다. 또한 쿠테타를 통해 보수주의자들과 존왕주의자들은 권력 게임의 규칙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군부에 의해 수상직에 임명된 수라윳 장군은 국왕이 제시한 ‘자족경제’ 개념이 정부 경제정책의 기조가 될 것임을 선언하였는데, 이것은 기업가 정신의 제고를 강조하는 탁신의 경제정책과 대조를 이루었다. 특히 수라윳 과도정부는 군부 엘리트와 존왕주의자들로 채워졌다. 그들 중 많은 수가 과거 1991년 쿠테타로 집권한 군사정부에 연루되었던 인물들이었다.
  
결국 탁신정부의 와해를 바랬던 중산층들은 자신들의 운명을 군부와 보수적 존왕주의자들에게 맡겼다. 그들은 탁신을 지지하고 또 그에게 표을 던진 빈민, 농민들이 아직 민주주의를 누릴만한 시민의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다. 반탁신운동을 이끌었던 보수주의자들은 탁신퇴진운동을 남들이 낸 세금으로 혜택을 받고 그 대가로 탁신을 지지하고 있는 빈민들과의 계급전쟁으로 보았다. 이러한 반탁신운동을 통해 외견상 왕실은 전례없이 강력해졌고 군부와 관료들은 과거 그들이 누렸던 특권을 되찾게 되었다.
 
특히 왕실과 군의 관계가 보다 돈독해졌다. 2006년 쿠테타 이후 군과 왕실에 연을 맺고 있던 보수주의자들이 공직에 임명되었다. 군부가 임명한 과도의회는 2007년도 군 예산을 50% 증액시켰다. 2007년 신헌법에 따라 민정이양이 이루어졌지만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은 계속되었다.  2006년 9월 쿠데타를 국왕이 승인하자 인터넷 사이버 공간에 국왕을 비판하는 글이 오르기 시작했고, 정부당국은 이들에게 최고 15년형에 처해질 수 있는 왕실모독죄를 적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실을 비난하는 인터넷 사이트가 증가하자 정부당국은 이들 사이트 폐쇄에 나섰다. 2008년에는 저명한 원로 사회운동가인 술락 시와락이 왕실모독죄로 입건되었다. 왕립 출라롱껀대 짜이 응빠껀 교수는 왕실을 비난한 저서를 발간했다는 이유로 입건되자 영국으로 피신하였다.

일찍이 타이에서 사회운동과 정당정치가 만개했던 초유의 시기는 1973년 10월 14일 민주혁명과 그 결과로서의 1974년 헌정체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4년 헌정체제’는 군부를 비롯한 우익의 반발로 파국을 맞았다. 1992년 5월 시민항쟁을 계기로 ‘74년체제’의 개혁성을 발전시킨 새로운 개혁적 헌법을 구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정된 헌법이 1997년 헌법이고, 시민사회의 의사를 수렴한 가운데 제정되었다는 점에서 ‘국민헌법’으로까지 불렸다. 그리고 ‘97년체제’ 하에서 타이 최초의 정책정당이라고 할 수 있는 탁신의 타이애국당이 집권할 수 있었다.

급기야 다양한 친서민 정책을 편 탁신의 포퓰리즘은 타이애국당이 민주헌정 사상 최초로 연립없이 단독 집권을 가능하게 했고, 동시에 ‘다수의 횡포’가 절정에 이르렀다. 결국 ‘다수의 횡포’에 따른 배제의 정치가 국가폭력과 인권침해 사례의 증가로 이어지자 일부 시민사회진영은 존왕주의자들과 손을 잡고 탁신 퇴진운동에 나섰다. 친서민정책을 통해 농촌에 절대적 지지기반을 갖고 있던 탁신은 이에 대해 의회해산과 선거로 맞섰다. 결국 수의 게임에 자신이 없는 반탁신진영은 쿠테타까지 ‘초대’하였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현 집권세력인 민주당은 쿠테타를 암묵적으로 지지하였다.  
 
탁신 지지세력으로 분류되는 ‘붉은 셔츠’는 오늘날 정국혼란의 근본 원인을 2006년 9월 쿠테타로 본다. 이들은 현 아피싯 정부가 군부로부터 독립적이라고 보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1997년 헌법의 복원을 주장하면서 수의 게임에 자신이 없는 현 아피싯 정부를 향해 의회해산과 총선실시를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탁신을 부패한 독재자, 교활한 포퓰리스트로, 탁신을 지지하는 서민들을 포퓰리즘에 현혹된 집단으로 보는 지식인과 중산층 중심의 ‘노란 셔츠’의 저항 역시 만만치 않다.  

흔히 민주주의를 갈등의 제도화라고 표현한다. 타이 사례는 이러한 갈등의 제도화에 이르는 아시아 민주주의의 힘겨운 여정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박은홍(성공회대 아시아NGO정보센터 소장)


 

Posted by 영기홍
,

한국 시민사회단체(CSO)의 개발효과성에 대한 원칙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환경 요건 토론

한국 시민사회에서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수행해온 개발시민단체들과 여성, 환경, 인권 및 민주주의 분야 등에서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애써 온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시민사회 개발효과성에 관한 국제포럼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열린 포럼(OPEN Forum)”을 3월 29일부터 30일까지 양일간 진행합니다. 금번 포럼은 “한국시민사회 개발효과성 열린 포럼(OPEN Forum)”과 “한국시민사회 개발효과성 다자간(Multi-stakeholder) 포럼”으로 나뉘어져 진행됩니다.

3월 29일(월)에 열리는 “한국시민사회 개발효과성 열린포럼"에서는 국제원조시민사회에서 원조를 포함해서 무역, 노동, 인권, 민주주의 등을 포괄하는 개발효과성(Development Effectiveness)의 논의를 전 지구적, 대륙별, 국가별로 진행되고 있는 국제행사로서 국제사회에서 주요 원조행위자로 인정받고 있는 시민사회단체(CSO)가 국제개발협력을 수행함에 있어서 직면하는 도전과 과제를 논의합니다.

또한 한국시민사회는 수원국 시민사회의 원조공여자이자 파트너로서 국제개발협력의 원칙, 지표, 실행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의 최소기준을 수립하는 ‘CSO 개발효과성’을 논하게 됩니다. 이러한 논의들은 2011년 제 4차 서울 원조효과성을위한고위급회의((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HLF)'에서 주요하게 논의 될 것입니다.

3월 30일(화)에는 CSO들의 개발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시민사회단체 뿐만 아니라 정부, 기업 및 학계가 모여 '한국시민사회 개발효과성 다자간(Multi-stakeholder) 포럼'을 개최합니다. '다자간 포럼'에는 유지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이사, 전흥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본부장, 황원규 한국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이 한국 CSO의 개발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한 타 기관들의 입장을 제시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합니다. 

프로그램 소개

3월 29일 월

세션

내용

비고

개회

09:30-10:00

접수

10:00-10:05

10:05-10:15

인사

오픈 포럼 아시아 대표 인사 및 간략한 오픈포럼 소개

김노보 해원협 회장

Susan Cruz (APRN)

Lyn Pano

세션1

10:20-12:30

[발표1] 국제사회의 원조 및 개발효과성 논의의 흐름과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발표2] CSO 개발효과성 논의의 흐름과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발표3] CSO 개발효과성의 다면성

질의&응답

김혜경 지구촌나눔운동 사무총장

이경신 해원협 팀장

Susan Cruz

점심

12:30-13:40

세션2

13:40-15:40

CSO개발효과성에 대한 원칙과 도전

* CSO 개발효과성의 중요 원칙

* 개발 행위자로서 CSO가 가져야할 가치와 기준

[조별토론]

[조별발표]

세션3

16:00-18:20

CSO개발 효과성 지표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조별토론] CSO 책임성과 효과성 확립을 위한 작업에 필요한 적절한 가이드라인 형성

[조별발표] 조별 주요 원칙 정리 내용과 가이드라인 발표

사회: 송진호 YMCA 실장

3월 30일 화

세션4

09:30-11:30

CSO 개발효과성 제고를 가능케 하는 환경

* CSO개발효과성 개선 및 저해요소

[조별토론] 한국의 정부, 기업 및 CSO가 CSO개발효과성을 위한 환경 형성을 위해 가져야 할 최소한의 중요 기준과 가이드라인

[조별발표]

사회: 송진호 YMCA 실장

11:30-12:00

포럼 정리 및 폐막

12:00-13:30

점심식사


 

Posted by 영기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3월 24일 베트남 공안부(the Ministry of Public Security) 와 사회연구소(the Institute for Social Studies) 관계자 7명이 참여연대를 방문했습니다. 이들은 한국에서 시민사회가 정책입안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왔습니다. 이태호 협동사무처장은 참여연대의 역사와 '감시, 대안, 참여, 연대'의 네 가지 방향을 소개했습니다. 또한 낙선낙천운동, 소액주주운동, 정보공개청구권, 반부패법 제정 로비활동 등 참여연대의 주요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소개했습니다.



Posted by 영기홍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칼 쉔베르크 박사(Dr.Karl Schoenberg), 이태호 협동처장, 이성훈 국제연대위원회 위원장


2010년 3월 23일 칼 쉔베르크 박사(Dr.Karl Schoenberg)가 참여연대를 방문했습니다. 쉔베르크 박사는 1980-1990년까지 독일 기독교 발전사업국의 한국담당으로 활동했었습니다. 오늘 참여연대를 방문한 그는 참여연대의 시작과 그동안의 활동을 소개받았습니다. 특히 참여연대의 국제연대활동이었던 버마민주화를 위한 운동과 필리핀 정치살해(political killing)를 멈출 것을 촉구하는 활동에 큰 관심을 표시하였습니다.







Posted by 영기홍
,

버마(미얀마) 속담에 "방금 판 우물에서는 깨끗한 물을 기대할 수 없다"는 표현이 있다. 첫 술에 배가 부를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일은 정해진 순서와 원리원칙이 따른다는 교훈이다. 버마 군부는 작년 국군의 날(3.27)을 맞아 이 속담을 언급하며 군부가 지향하는 "규율민주주의"도 정해진 중간단계가 성숙될 때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국민에게 훈시했다. 우물의 '수질'이 마실 수 있을 정도로 정화되었다고 판단했는지 모르겠지만 군정 최고지도자는 금년 독립기념일(1.4)을 기해 금년 내 총선을 실시할 것이라고 천명했고, 마침내 지난 8일부터 5일에 걸쳐 선거와 관련된 5개의 법령을 국영언론을 통해 공표했다. 연방선거위원회법(Union Election Commission Law), 정당등록법(Political Parties Registration Law), 상원선거법(Amyotha Hluttaw Election Law), 하원선거법(Pyithu Hluttaw Election Law), 지방의회선거법(Region Hluttaw or State Hluttaw Election Law) 등이 그것인데, 이로서 구두로만 서약한 총선실시는 구체화의 수순을 밟는 첫 단계에 진입했다.

4월부터 군부는 군 수장의 처조카인 뮌스웨(Myint Swe) 제 5특별작전국장을 수장으로 하는 과도정부(caretaker)를 구성하여 본격적인 선거체제에 돌입할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기 시작했다. 출마지역까지 확정 받은 중앙부처 고위 관료는 해당직위 만료일을 6월로 통보받았고, 아웅산수찌(Aung San Suu Kyi)의 가택연금 해제 예상일이 11월이라는 정부 인사의 언급을 배경으로 했을 때 총선은 9월 말에서 10월경에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숫자 11을 맹신하는 군정 지도자가 어떻게 점성술사의 점괘를 받드느냐에 따라 선거일은 결정될 것이다.

국내외 정당, 민주화운동집단과 이해관계를 가진 국제사회는 곧 선거법에 대한 평가와 비판이 쏟아냈다. 그 중 가장 이목을 끄는 대목은 아웅산수찌의 총선 입후보 여부, 선거위원회 구성의 적절성 등 주로 참여와 경쟁에 바탕을 둔 민주성의 원칙으로 예상을 빗나가지 않았다. 복역 중인 자는 상하원 선거법 각 제 4장 7조 2항, 제 5장 10조 1항에 따라 총선에 입후보를 할 수 없고, 선거권도 없으며, 정당등록법 제 2장 10조 5항에 따라 정당원으로도 등록될 수 없다. 1989년 공표된 선거법과 달리 금번 선거법에서는 외국인에게만 국한되었던 입후보 및 선거권 제한기준이 직계 자손까지 확대되어 군부의 외국인혐오증(xenophobia)은 더욱 확대되었다. 독소조항은 외국인과 결혼한 버마 민주화의 상징인 아웅산수찌를 겨냥한 것이 틀림없지만 약 2,200명에 달하는 정치범도 총선 입후보에서 배제될 전망이어서 반군부세력의 공백이 한 층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총선을 통해 1990년 총선 결과는 유효하지 않을 전망이기 때문에 국민민주주의연합(NLD)이 국제사회에서 누렸던 정통성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이다. 전 대법원 부원장이자 군법무관을 지낸 우 떼잉쏘(U Thein Soe)를 위원장으로 하는 17인의 선거위원회는 퇴역 장교, 재판관, 교수, 대사 등 친정부 인사로만 구성되어 선거관리의 중립은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NLD는 선거에 참가하기 위해 정당등록을 할 것인지를 논의 중에 있는데, 3월 27일 공식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NLD도 내부적으로 아웅산수찌 파벌과 띤우(Tin U)를 중심으로 하는 퇴역군인 파벌로 양분되어 있는데, 전자는 총선 참여를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오는 5월 7일이 총선을 위한 정당등록 만료일인데, NLD가 정당등록을 하더라도 군부의 정치탄압은 그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NLD의 내부결정은 존중되어야 마땅하지만 과거처럼 강경노선만을 고집할 경우 정치권에서 완전히 배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의회민주주의시기(1948-1958, 1960-1962) 총리와 부총리를 역임했던 우 누(U Nu)와 우 쪼응에잉(U Kyaw Nyein)의 여식(女息)들이 창당한 민주당(Democratic Party)의 행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태국 내 망명정치가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민주당은 군부가 조직한 정당의 정권창출을 기정사실로 수용하지만 원내에 진입한 후 협상을 통해 연정을 수립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군부도 USDA를 단일정당으로 창당하지 않고,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집단, 기업인, 변호사, 의사 등 신흥엘리트 집단, 소장파 군 인사로 구성된 군부 집단 등으로 세분화하여 총선 이후 합당이나 연정의 단계를 거칠 것으로 보인다. 단일정당으로 총선에 참가하여 대패한 1990년 총선의 교훈이자 다당제에 입각하여 공정한 선거가 치러졌다는 평가를 위한 전략적 획책이기도 하다.

정치개혁이라는 우물을 파서 민주주의라는 정수(淨水)를 국민에게 공급하려한다면 양질의 식수를 제공할 입지를 선정하고 토양을 훼손시키지 않는 도구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만약 용수가 넉넉하지 않은 땅이면 다른 장소를 물색해야 할 것이며, 식수가 나오지 않으면 그 이유를 역으로 조사하여 식수가 솟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군부가 우물을 파기 위해 선정한 터와 도구는 이미 오염되었고, 거기서 샘솟는 우물은 군부의 건강을 책임지지 못할 것이다. 몇 번에 걸친 정화를 하더라도 우물의 질은 더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국민은 자신의 건강을 해치울 샘물을 강압적으로라도 마셔야하는가? 아니면 우물이 정화될 도구나 기술, 새로운 터를 선정할 수 있도록 제안하여야 할 것인가? 썩은 물을 파는 현실에 수수방관하는 것이 더 서글프지 않은가.

장준영(부산외대 미얀마어과 강사)





Posted by 영기홍
,

참여연대는 1994년 창립된 이후, 행정.사법.의회에 대한 시민감시와 시민대안제시 활동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가진 영어능력으로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한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주요 거대 미디어의 시각을 통해서만 알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주요 미디어에서 선택한 해외자료만을 접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여러분과 함께 한국 시민사회의 활동을 국외에 소개하고, 공유하기 어려웠던 가치 있는 국외자료를 국내에 소개하고자 합니다.

• 활동부서: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 영.한역 활동내용
- UN제출문건
- 민주주의 (표현의 자유, 사법부 독립, 의회감시, 행정감시 등)
- 평화 (핵, 남북문제, 평화국가 등)
- 인권 (노동, 보편적 사회복지, 경제민주주의 등)
- 국제연대 (UN 등 국제기구, ODA정책, 아시아 시민사회 연대 등)
• 인센티브
- 국제분야 및 아시아 시민사회 연대 활동을 배울 수 있음
- 아시아 연대 시민 강좌 수강
- 활동증명서 발급
• 활동기간: 6개월 (연장가능)
• 활동형태: 주1회 출근 (구체적 사항은 추후 논의)
• 제출서류: 이력서, 자기소개서 (파일 첨부)
• 지원기간: 2010년 3월 31일(화)까지
• 기타 상세한 사항은 담당자에게 문의해 주십시오.
  국제연대위원회  손연우
  02-723-5051  yeonu@pspd.org

※ 서류는 제시된 양식에 맞춰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제출하신 서류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 ‘참여연대국제연대 지원’이라는 제목으로 yeonu@pspd.org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http://www.peoplepower21.org/  (참여연대)
              http://www.peoplepower21.org/international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http://blog.peoplepower21.org/English (영문홈페이지)

Posted by 영기홍
,